본문 바로가기

견적서만들기

1. 견적서 만들기

#1 화면 보기

 

0
 < 내역서 만들기 >

 

#2 양식 만들기

1. 내역서 양식

 

   - 품명/규격/단위/수량/재료비/노무비/경비/합계/비고

 

   - 금액은 소수점이 없도록 원미만은 버림 처리한다.

 

   - 금액 = TRUNC( 수량 x 단가 )

 

2. 집계표 양식

 

    - 내역서의 양식을 따른다.

 

3. 원가계산서

 

    - 총공사비 = 직접공사비 + 간접공사비

 

    - 직접공사비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기계경비

 

    - 간접공사비 = ( 수량x단가 )로 이뤄진 직접공사비를 제외한 모든 비목

 

                      = 간접노무비, 4대 보험, 산업안전관리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기업이윤 등

 

    - 제비율은 조달청에서 발표한 것을 따른다.

 

       참 고 : 2022년 조달청 시설공사 원가계산 간접공사비 적용기준

 

    - 예시 ( 내역서, 집계표, 원가계산서 )

 

** 내역서 양식 예시 **

 

** 집계표 양식 예시**

 

** 원가계산서 양식 예시 **

 

#3 자원관리

   1. [자재단가]는 공급업체의 자료를 정리하여 일정한 포맷의 형태로 정리한다.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내역 프로그램에 업로드할 준비를 한다.

   

   2. [일위대가]는 조달청 및 발주처에서 제공하는 기본 자료를 준비한다.

     

      또는 필요에 의해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조합하여 만들어 준비한다.       

 

   3. [품셈(공량)]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표준품셈 자료를 준비한다.

 

   4. 1~3번의 자원을 무료 또는 유료로 공급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관리한다.

 

#4 무엇을 넣을까?

  1. 허가도면 또는 실시 도면을 바탕으로 적산(수량산출)한다.

 

  2. 견적을 위한 산출서는 설계사에서 제공하는 형태의 산출서로 만드는 것보다

     

     주공종, 하위 공종을 구분하여 수량을 집계한다.

 

    동, 층, 실, 바닥, 벽, 천장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면 수량산출서가 된다.

 

     수량산출서에는 일위대가를 포함한다.

 

  3. 집계된 수량에 공량을 곱하여 합계를 구한다.

 

     동, 층, 실, 바닥, 벽, 천장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면 노임근거서가 된다.

 

  4. 3번의 공량은 자재 항목에 품셈을 같이 관리하여 효율적인 집계가 되도록 한다.

 

  5. 집계표내 직접공사비(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원가계산서로 넘기고

 

     제비율을 적용한 간접공사비를 더하여 총공사비를 만든다.

 

 

 

# 사족

사업장에서 사용하던 견적프로그램에 익숙해지면 그에 맞게 적응하여 잘 사용하기 마련이다.

 

이직을 하여 다른 환경에서 고민하게 되어 (주)하우코스트에서 개발한 XCOST를 활용하여

 

아주 잘 쓰고 있다.

 

무료로 배포한 버전도 많은 기능에 감사할 따름이다.

 

이 자리를 빌려 사용자들에게 좋은 프로그램을 제공해주신 (주)하우코스트 대표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