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 보기
#2 양식 만들기(가로형)
1. 재노경을 세 번 가로로 복사하기
2. 누계 수량에 전회 수량과 금회 수량을 더하기
#3 양식 만들기(세로형)
1. 내역서에 행(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삽입하기
1) 내역서 오른쪽에 번호 붙이기
2) 내역서 복사하기
3) 내역서 정렬
2. '품목', '규격'란을 병합하고 가운데 맞추기
3. 서식을 복사하기
4. '구분'란에 재, 노, 경, 합계 기입하고 서식 값을 가져와 세로형으로 만들기
5. 서식을 복사하기
6. 마지막 '합계'란에 SUM, IF, MOD, ROW 함수를 이용하여 합계 값 구하기
1) 재료비의 합계
{=SUM(IF(MOD(ROW(범위),4)=1,1,0)*(범위))} ; 행의 값을 4로 나누어 나머지가 1인 행을 전부 더하기
2) 노무비의 합계
{=SUM(IF(MOD(ROW(범위),4)=2,1,0)*(범위))} ; 행의 값을 4로 나누어 나머지가 2인 행을 전부 더하기
3) 경비의 합계
{=SUM(IF(MOD(ROW(범위),4)=3,1,0)*(범위))} ; 행의 값을 4로 나누어 나머지가 3인 행을 전부 더하기
4) 합계의 합계
{=SUM(IF(MOD(ROW(범위),4)=0,1,0)*(범위))} ; 행의 값을 4로 나누어 나머지가 0인 행을 전부 더하기
7. 금회 기성, 누계 기성, 전회 기성을 특성에 맞는 서식의 값을 넣기
#4 무엇을 넣을까?
1. 산출서(수량, 노임)가 있는 경우에는 동, 층, 실별로 세분화되어있으므로,
진행된 작업량을 집계한 수량 넣기
2. 산출서가 없는 경우에는 건설공사 사업장의 협의한 금액 또는 수량 넣기
#사족
공정률에 따라 기성을 지급하게 되지만 작업량을 계량적 수치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건설공사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는 아주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해당 사업장의 관계자들과 잘 협의하여 원만한 기성고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협조하여야 한다.
<참고 문헌>
건설공사 진도 및 기성고 산정 방법 개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6. 11